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영화 렛미인 리뷰 (외로움과 성장, 사랑의 조건과 윤리적 모호성, 감정의 거리감)

by Lion Yawn 2025. 9. 2.
반응형

영화 렛미인 포스터 사진

외로움과 성장의 병행서사

‘렛 미 인’은 단순한 뱀파이어 영화가 아닌, 청소년기의 외로움과 정체성 형성을 중심에 둔 성장 서사로 읽힐 수 있습니다. 영화의 주인공 오스카는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하고, 부모와의 관계도 단절된 채 혼자 있는 시간이 많은 소년입니다. 반면 엘리는 겉보기에는 소녀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수십 년을 살아온 뱀파이어입니다. 이 두 인물은 겉으로는 또래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존재라는 점에서 특별한 대비를 이루며, 서로의 외로움을 이해하고 보완합니다.

엘리의 존재는 오스카에게 구원이자 도전입니다. 엘리는 오스카가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할 때 그의 일상을 흔들어주는 외부 요소이자, 새로운 세계로 진입할 수 있는 열쇠가 됩니다. 하지만 그 세계는 결코 안전하거나 정상적인 것이 아닙니다. 뱀파이어라는 존재는 판타지적 설정이지만, 실은 어른이 되는 것, 현실과 타협하는 것에 대한 메타포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영화는 이처럼 외로운 두 존재가 만나 서로를 받아들이고 성장하는 과정을 담담하게 그리면서도, 뱀파이어라는 장르적 요소를 통해 복합적인 의미를 구성합니다.

사랑의 조건과 윤리적 모호성

엘리와 오스카의 관계는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서며, 사랑의 조건과 윤리적 경계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엘리는 뱀파이어로서 생존을 위해 인간의 피를 마셔야 하며, 이를 위해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초반에는 노인을 시켜 희생자를 만들고 피를 얻었지만, 점차 엘리 스스로 사냥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녀의 존재는 ‘피해자이자 가해자’라는 이중성을 갖게 되며, 관객에게 선과 악의 경계에 대한 모호함을 느끼게 합니다.

오스카는 엘리의 정체를 알고 있음에도 그녀를 받아들이고, 오히려 그녀에게 의지하게 됩니다. 이는 사랑이 조건 없는 수용일 수 있는지를 시험하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영화는 이 관계를 낭만적으로만 그리지 않습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엘리는 오스카의 폭력 문제를 해결해주지만, 동시에 오스카는 과거 엘리의 도우미처럼 또 다른 ‘보호자’가 되는 미래를 암시합니다. 이는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필요와 의존의 관계, 혹은 지속 가능한 착취의 관계일 수도 있음을 시사합니다.

차가운 미장센과 감정의 거리감

이 영화의 또 다른 특징은 차갑고 고요한 미장센을 통해 감정의 밀도를 높이는 방식입니다. 스웨덴 겨울의 풍경은 영화 전반에 걸쳐 배경으로 등장하며, 눈, 얼음, 음울한 빛감은 캐릭터들의 내면 상태와도 일치합니다. 이는 ‘고립’과 ‘단절’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로 작용합니다. 밝은 조명이나 따뜻한 색감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장면은 청회색, 흰색, 검정의 톤으로 구성되어 관객에게 심리적인 거리감과 긴장감을 부여합니다.

카메라의 움직임 또한 느리고 절제되어 있으며, 과한 클로즈업이나 감정적인 음악도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정적이고 건조한 화면 구성과 장면 전환이 이어지며, 사건보다는 분위기와 감정의 흐름을 강조합니다. 특히 폭력 장면에서도 감정의 과잉 없이 묘사되며, 오히려 잔인함보다는 쓸쓸함과 슬픔이 배어납니다. 이 같은 미장센은 호러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공포보다는 인물 간의 복잡한 감정과 내면의 외로움을 더욱 두드러지게 표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